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KIA 타이거즈
(r2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= 엠블럼 === ||<-3><tablealign=center><tablewidth=750><tablebordercolor=#ea0029><tablebgcolor=#ffffff,#1c1d1f><bgcolor=#ea0029> {{{#ffffff {{{+1 '''해태-KIA 타이거즈 엠블럼 변천사'''}}}}}} || ||<width=33.3%> [[파일:해태 타이거즈 엠블럼(1982.01.06.~1982.01.18.).jpg|width=54%]] ||<width=33.3%> [[파일:해태 타이거즈 엠블럼(1982~1995).svg|width=33%]] ||<width=33.3%> [[파일:해태 타이거즈 엠블럼(1996~2001).svg|width=57%]] || ||<-3><rowbgcolor=#f01e23> {{{#ffff00 '''해태 타이거즈'''}}} || ||<rowbgcolor=#000000> {{{#ffffff '''1982.1.6.~1982.1.18.'''}}} || {{{#ffffff '''1982~1995'''}}} || {{{#ffffff '''1996~2001.7.31.'''}}} || || [[파일:KIA 타이거즈 엠블럼(2001~2003).svg|width=60%]] || [[파일:KIA 타이거즈 엠블럼(2004~2009).svg|width=60%]] || [[파일:KIA 타이거즈 엠블럼(2010~2016).svg|width=60%]] || ||<-2><bgcolor=#f01e23> {{{#ffffff '''KIA 타이거즈'''}}} ||<bgcolor=#ed1c24> {{{#ffffff '''KIA 타이거즈'''}}} || ||<bgcolor=#a0abb5> {{{#f01e23 '''2001.8.1.~2003'''}}} ||<bgcolor=#000000> {{{#f01e23 '''2004~2009''' }}} ||<bgcolor=#151a2b> {{{#ffffff '''2010~2016'''}}} || || [[파일:KIA 타이거즈 엠블럼(2017~2020).svg|width=60%]] || [[파일:KIA 타이거즈 엠블럼.svg|width=60%]] ||<|3> [[파일:KIA 타이거즈 워드마크.svg|width=75%&theme=light]][[파일:KIA 타이거즈 원정 워드마크.svg|width=75%&theme=dark]] || ||<bgcolor=#c70125> {{{#ffffff '''KIA 타이거즈'''}}} ||<bgcolor=#ea0029> {{{#ffffff '''KIA 타이거즈'''}}} || ||<bgcolor=#1e376d> {{{#ffffff '''2017~2020'''}}} ||<bgcolor=#06141f> {{{#ffffff '''2021~현재'''}}} || 구단의 상징색은 전신 [[해태 타이거즈]] 시절부터 사용하던 [[빨간색|{{{#ea0029 '''빨간색'''}}}]]이고[* KBO 리그 원년 구단 중 [[두산 베어스]], [[삼성 라이온즈]]와 더불어 상징색을 한 번도 안 바꾼 팀이다. 서브 컬러는 달라진 적이 있어도 타이거즈의 메인 컬러는 늘 빨간색이었다. 삼성은 채도의 차이가 다소 있어도 원년부터 푸른색을 상징색으로 썼고 두산도 원년 OB 시절부터 남색을 구단의 상징색으로 삼고 1999년~2009년의 반달곰 한정으로 서브 컬러로 노란색을 병행 사용했으나, 이때도 남색을 원정 유니폼 색상으로 유지하다가 2010년 CI 교체부터 다시 남색 컬러를 메인으로 내세우고 있다. [[롯데 자이언츠]]는 1996년 이후 수차례에 걸쳐 상징색을 바꿨고 푸른색을 상징색으로 썼던 [[MBC 청룡]]은 구단 명칭이 [[LG 트윈스]]로 변경되면서 붉은색의 팀으로 바뀌었다.] 세컨드 컬러로 검은색을 밀었다. 빨간색-검은색 조합은 해태 타이거즈를 상징하던 검빨 유니폼 컬러 조합이기도 하다. 그러다 2015년부터는 유니폼에 모기업 [[현대자동차그룹]]의 CI 컬러인 다크블루(감색)를 적용했고 점차 사용 빈도가 늘어났다. 한편 이와는 별도로 응원 도구 색상은 노란색으로[* 노란색이 활용된 최초의 응원도구는 깃발이었다. [[1983년 한국시리즈]]와 [[1986년 한국시리즈]] 당시 영상을 보면 해태 응원석에서 팬들이 노란색 깃발을 흔드는 장면을 볼 수 있다. 하지만 왜 노란색이 응원도구 색상으로 쓰여졌는지 유래는 알려진 바가 없다. 일각에서는 타이거즈의 연고지인 호남에서 절대적 지지를 얻은 정치인 [[김대중]]과 [[평화민주당]]의 상징색이 노란색이었기에 타이거즈도 자연스럽게 노란색을 썼다는 관측을 내놓기도 했지만 평화민주당이 창당된 것은 1987년 11월이고 그 이전부터 노란색 깃발이 쓰여졌기에 이 가설은 맞지 않는다.] [[해태 타이거즈]] 시절부터 지켜온[* 일명 '[[단무지]]'라고 부르는 노란색 막대풍선은 1996년부터 사용했다. 2001년 KIA 인수 직후 잠시 흰색이나 붉은색 막대 풍선을 썼으나 얼마 못 가서 과거의 노란색 막대 풍선으로 돌아왔다. 현재는 환경오염과 유해 물질 검출 등을 이유로 PVC 소재 막대풍선 대신 종이 소재 [[클래퍼]]를 사용하는 추세에 맞춰 노란색의 '호통이'를 사용한다. 해태 시절에는 응원 깃발도 노란색이었지만 KIA로 와서는 붉은색 깃발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.] 전통이다. 구단 최초의 로고는 창단 직전에 만들어서 아주 짧게 사용했던 로고가 있다. [[https://blog.naver.com/luckcrow/223275642239|2017년 어느 블로거의 발견 글]] 1982년 1월 6일에 공개되었지만 같은 달 18일에 모두가 기억하는 유명한 해태 타이거즈의 사각 로고로 변경했다. 최초의 로고는 영문으로 TIGERS가 찍혀 있는데 너무 짧게 쓰인 탓인지 [[광주-기아 챔피언스 필드]] 내 역사 박물관이나 구장 곳곳에서도 이 로고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. KIA 타이거즈 초기 로고는 [[텍사스 레인저스]]와 유사한 글씨체를 차용했다. 비록 꼴찌를 두 번 찍는 참담한 암흑기를 거치기도 했고 충격과 공포의 회색 원정 유니폼을 사용한 적도 있었지만, 이 로고를 마지막으로 사용한 해에 [[2009 CJ 마구마구 프로야구 한국시리즈|2009년 한국시리즈]] 우승을 차지하면서 팬들에게는 결국은 좋은 기억으로 남아있는 로고이다. 실제로 KIA의 올드유니폼 데이(Go T09ether Day) 경기에서는 2009년 이전까지의 로고가 표시된다. 초창기 2003년까지는 기아자동차에서 사용하던 밀레니엄 로고 디자인이 적용된 게 특징이다.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사용했던 로고는 이전의 대칭형 로고에서 벗어나 비대칭형 로고를 채용하면서 역동적인 모습을 담아내려 했다. 동시에 'KIA' 폰트도 [[기아|모기업]]의 CI 폰트가 아닌 'KIA MOTORS'의 폰트[* [[파일:IMG_1337.jpg]]]로 변경되었다. 다만 전반적으로 [[한화 이글스]]와 로고가 비슷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았다. 이 시기 KIA는 2011년 준플레이오프 진출과 2016년 와일드카드 진출을 제외하면 가을야구와는 연이 없었고, 특히나 KIA의 팜을 작살냈다는 평을 받은 [[선동열]] 전 감독의 부임 시기와 맞물리면서 KIA의 암흑기를 상징하는 로고가 되었다. 해태-KIA의 모든 로고를 통틀어 유일하게 우승 경험이 없는 로고이기도 하다. 이 시기부터 KIA는 구단의 얼터너티브 컬러로 감색(어두운 청색)을 내세웠다.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사용했던 로고는 이전까지의 비대칭형 로고 및 원형 로고에서 벗어나 대칭형과 홈베이스를 상징한 것이 특징이며,[* 'KIA' 폰트도 다시 모기업 CI의 것으로 돌아왔다.] 구단의 세컨드 컬러인 다크 블루([[감색]])[* 모기업의 로고 변경을 반영하면서 색상 일부를 함께 바꾸었다.]를 본격적으로 밀기 시작했다. 로고의 상하단에는 기아자동차의 특징인 호랑이코 그릴의 모습이 담겨있는 것도 특징이다. 당시 비슷한 시기에 [[현대글로비스 럭비단]]을 창단했는데 이 로고를 응용하여 만들었다. 그리고 KIA 타이거즈를 시작으로 [[현대자동차그룹 스포츠단]]의 로고 및 유니폼 디자인이 비슷해지기 시작했다. 팬들 사이에는 처음에는 어색하다는 의견이 많았지만, 깔끔한 폰트체로 해태의 공식 첫 로고 이후 가장 좋은 평을 받고 있다. 덧붙여 이 로고를 사용하자마자 통합 우승으로 '''V11'''을 달성하면서 산뜻하게 새 시대를 열었다. 2021년에 모기업인 기아자동차가 사명을 '[[기아]]'로 바꾸고 회사 로고와 기업 상징색 또한 붉은색에서 '미드나잇 블랙'으로 변경하면서 구단 엠블럼 역시 일부 변경했다. 기존 KIA 로고 부분에는 기아의 새 CI가 삽입됐고 붉은색 타이거즈 워드마크는 그대로 두되[* 다만 붉은색도 일부 변화가 있다. '타이거즈 라이브 레드'를 차용함으로써 색의 채도가 살짝 밝아졌다.] 오각형 테두리의 색깔이 바뀌었다. 기존에는 오각형의 윗쪽은 붉은색, 아랫쪽은 다크 블루가 배치됐지만 오각형 테두리를 전부 검은색과 다크 네이비의 중간점 색깔이라 할 수 있는 '타이거즈 미드나잇 블랙'으로 변경됐다. 팬들 사이에서는 검은색을 넣으려면 역사와 전통의 빨강 메인-검정 서브가 있는데 검정을 메인으로 두는 바람에 어색하다는 볼멘소리가 많다.[* 기아의 로고가 바뀌면서 타이거즈의 로고도 약간 바뀌었다.] 다만 이건 모기업의 색상이 공식적으로 블랙(미드나잇 블랙)으로 변경된 이유가 더 크다. 그래도 그 헤리티지를 남겨 놓고자 한 건지, 빨강을 서브로 남겨 두었다.[* 타이거즈 인수 시 팬들의 염원을 담아 타이거즈 구단명을 그대로 유지한 것이랑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] 현 워드마크와 심볼, 폰트 자체는 이전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기에 오히려 폰트는 그대로 두고 색깔이 검빨로 바뀐 지금의 로고가 더 멋있다며 호평하는 의견도 적지 않다. 직전 로고와는 달리 이 로고를 사용하기 시작한 첫해에 팀의 순위가 9위로 곤두박질치며 안 좋은 기억으로 출발했으나 4년 차인 2024년에 통합 우승으로 '''V12'''를 달성하며 좋은 기억을 추가하게 되었다.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